카테고리 없음

아이에게 열이 날때 대처법

¶™▩⒨ 2023. 2. 3. 22:30

열이 난다면?

아이에게 열이 나기 시작했다. 추워하고 열나는데 옷을 벗겨? 입혀? 해열제 먹여? 말아? 먹이면 언제 먹이지? 먹여도 열이 안 떨어지는데?

매 순간순간이 고민의 연속이고 걱정도 엄청 많이 될 것이다. 저도 아직까지 애기 열나는 게 제일 긴장된다.

우리 아이 열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여러 가지 대처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아이가 열이 나는 것 같다 그때 제일 먼저 해야 될 것은 체온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있다면 집에 체온계 하나씩 꼭 비치해 두어야 한다.

체온계 중에서도 가장 자주 사용하는 체온계는 고막 체온계일 것이다. 체온을 측정할 때는 양쪽 귀를 다 측정하여 높은 쪽의 온도를 기준으로 잡으면 된다.  만약 양쪽귀의 체온이 심하게 차이가 난다면 30분 다시 측정해 보아야 한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1도 정도 체온이 높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신생아의 경우 집이 적정한 온도인데 아이가 추울까 봐 손발을 꽁꽁 싸매고 있으면 열이 오를 수 있다 신생아는 열 조절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오르기도 내리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집의 온도와 습도는 유지해주어야 한다. 아이가 열이난 다고 옷을 다 벗겨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안 된다 아이가 감기 등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경우 몸에서는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열을 낸다 이게 바로 오한인데 오한으로 몸이 부르르 떠는 것은 근육을 움직여 몸에 열을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열이 나는데 옷을 다 벗기고 열을 떨어 뜨린다면 오한은 더 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내의 정도는 입혀주는 게 좋다. 열이 난다면 증상에 따라 해열제를 먹이고 땀으로 아이의 내의가 젖는다면 많은 체온이 뺏기지 않게 자주 갈아주어야 하겠다. 그리고 수분손실이 많다면 수분도 충분히 공급해 주아야 한다.

열났을 때는 미온수 마사지?

엄마들은 해열제의 이용보다 미온수 마사지를 더 선호는 경우가 있다. 미온수 마사지는 말 그대로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 물이 증발하면서 몸에 열을 뺏어가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열을 내리는데  효과는 미비하여 보조적인 역할로 사용해야 한다.

효과가 좋은 것은 해열제인데 요즘 해열제는 약 성분이 좋아져서 정확하 용법 용량만 지킨다면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미온수 마사지를 보조적으로 사용할 경우 찬물로 하면 절대 안 된다 찬물로 할 경우 오히려 오한이 심해져 열을 더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아이의 열은 왜 나는 것일까?

우리 몸 안의 면역체계는 바이러스가 들어왔을 때 몸의 열을 끌어올려서 싸우고 방어를 한다. 아익 열이난 다는 것은 면역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여  몸 안에서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열심히 싸우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런 과정을 겪으면서 몸은 면역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해열제

해열제는 열이 나면 무조건 먹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열이 있더라도 아이가 잘 놀고 힘이 처지거나 하지 않다면 조금 더 지켜봐도 괜찮다 하지만 오한, 두통, 잠도 못 자고 컨디션이 좋지 않다면 해열제를 고려해야 한다.

해열제의 종류

아세트아미노펜계열- 타이레놀시럽, 분홍색챔프시럽, 세토펜

진통 해열작용을 하고 하루에 4시간에서 6시간 간격(하루최대 5회)으로 복용  6개월 이전의 아기에게는

아세트아미노펜계열 만 사용가능하다.

 

이부프로펜 계열-부루펜시럽, 파란색 챔프시럽

진통, 해열, 소염작용까지 있고 하루에 6시간에서 8시간 간격으로 복용(최대 하루 4회)

 

덱시부프로펜계열-멕시부펜 

해열, 소염작용 4시간에 6시간 간격을 복용

 

이렇게 같은 계열의 약을 먹일 때에는 시간 간격을 정확히 지켜줘야 한다. 시간을 지키지 않고 먹일 경우 효과가 더 좋아진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시 약을 먹이기 까지는 시간이 아직 많이 남아있고 아이의 열은 떨어지지 않는다면 교차 복용을 고려해 본다. 같은 교차복용이란 각각 다른 계열의 약을 번갈아가며 약의 복용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예로 

12시에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을 먹였다면 14시에 이부 프로펜 계열의 약을 번갈아 먹이는 것이다. 

 

아이에게 열이 나는 것은 정말 흔한 일이다 그렇다고 너무 가볍게 생각해서도 겁을 먹어서도 안된다

위와 같이 해열제 복용으로 열이 내리지 않거나 경련을 한다거나 아이가 축 처진다면 빨리 병원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